지식인 하면서 말입니다? 굉장히 어려운 질문에, 이상한 질문을 하면서 ChatGPT 답변 사절, AI
굉장히 어려운 질문에, 이상한 질문을 하면서 ChatGPT 답변 사절, AI 답변 사절, 매크로 답변 사절이라고 쓰는 사람이 있어요. 그럼 도대체 무슨 답변을 원하는 걸까요?어차피 지식인 답변은 다 AI를 참고하거나 ChatGPT를 참고해서 쓰는 건데, 그런 답변을 사절하면 무슨 답변을 원하면서 질문을 하는 걸까요?저는 이해가 안 가더라고요. 어떤 답변을 원하고 질문을 하는 걸까요? 그리고 채택이나 하면 좋은데 채택을 또 안 해요?그것이 너무 궁금합니다.채택은 한 달 후에 할게요. 매크로 답변은 채택 안 합니다.매크로 답변 방지용 사진
꽤나 의아하네요. 네이버 지식인은 생긴지 20년이 넘은 서비스입니다. 23년 정도 됐죠. 그런데 ai, 특히 챗지피티는 출시된지 3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지식인에서 ai를 활용한 답변이 올라오는건 불과 1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즉 지식인에 답변을 하던 사람들의 대부분은 이런 ai를 사용하지 않고 답변하던 사람들이라는 말입니다.
그런데 왜 지식인 답변은 다 ai를 참고해서 적는다고 생각하시는 걸까요?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답변하던 그 수많은 사람들이 다 ai 서비스가 나오자마자 ai를 쓴다고 생각하시는 걸까요? 아니면 그 사람들은 이제 지식인에 전부 없을 거라고 단정지으시는 걸까요?
지금은 좀 티가 안나는데 한동안 지식인에 달리는 답변에서 ai 티가 너무 심하게 나는 답변들이 있었습니다. 심지어 답변의 질도 많이 떨어졌죠. 전혀 쌩뚱맞은 답변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습니다. 무엇보다 ai로는 답변이 불가능한 부분도 많았죠. 가령 게임 관련 답변의 경우 그 게임을 직접 플레이해본 사람이 아니면 답변할 수 없는 질문이 생각보다 빈번한데, 직접 플레이해보지 않은 ai가 어떻게든 답변하려고 하다보니 답변 자체에 사실과 오류가 섞여 있는 경우가 적지 않았죠.
그런 것에 데여보신 분들이 ai답변을 거부하는 겁니다. 저도 답변하던 사람으로 어처구니가 없는 ai답변이 달린 것을 보고 정정하려고 답변을 단 적이 있을 정도니까요. 그래서 그럴 겁니다.
아 그런데 질문하고 나서 채택하지 않는 사람들은 저도 별로 안 좋아합니다. 채택할만한 답변이 없었다면 이해되는데 분명히 채택이 되어야 하는 답변도 채택하지 않는 분이 적지 않죠. 저도 그건 별로 이해해주고 싶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