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왼쪽귀 숨 들어마실때 막힘 주로 아침 오전에 왼쪽귀가 막힘. 숨 들어마실때만.숨 내쉴때는 괜찮음. 막힐때마다
주로 아침 오전에 왼쪽귀가 막힘. 숨 들어마실때만.숨 내쉴때는 괜찮음. 막힐때마다 왼쪽으로 고개숙이연 귀가뚤림.시간지나 오후되니 괜찮아짐. 이렇게 살고있습니다.어디가 문제일까요.
숨 들이마실 때 귀 막힘 (이관개방증)
숨을 들이마실 때 귀가 막히는 증상은 이관개방증의 전형적인 증상입니다. 이관개방증은 코와 귀를 연결하는 이관(유스타키오관)이 비정상적으로 항상 열려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1. 이관개방증의 증상 및 원인
증상:
자신의 숨소리가 귀에 들림: 님의 경우처럼 숨을 들이마실 때 귀가 막히는 듯한 느낌과 함께 자신의 숨소리가 귀에 크게 들릴 수 있습니다.
귀 먹먹함: 귀가 먹먹하거나 답답한 느낌이 지속됩니다.
자신의 목소리가 크게 들림 (자성강청): 자신의 목소리가 귀에 울려서 들리기도 합니다.
자세 변화 시 호전: 고개를 숙이거나 눕는 등 자세를 변화시키면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님의 경우 "왼쪽으로 고개숙이면 귀가뚤림"이라고 하셨으니 가능성이 높습니다.
원인:
급격한 체중 감소: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임신 및 경구 피임제: 호르몬 변화가 이관개방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탈수: 몸의 수분 부족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스트레스도 이관개방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관 주위 근육 긴장: 삼차신경 가지가 분포하는 이관 구개긴장근의 긴장으로 인해 신경신호 이상이 발생하여 이관이 막히는 듯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이관개방증 외 다른 가능성
이관폐쇄증/이관기능장애: 이관이 항상 막혀 있는 상태로, 귀가 멍하고 답답한 느낌이 듭니다. 비행기에서 귀가 막혔다가 침을 삼키면 뚫리는 것과 달리, 이관폐쇄증 환자는 침을 삼켜도 밸브가 열리지 않아 귀가 멍하고 답답합니다.
삼출성 중이염: 중이(고막 안쪽 공간)에 물이 차는 질환으로, 통증 없이 귀 먹먹함, 답답함, 청력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병원 방문 필요성
이비인후과에 가봐야 합니다.
이유:
정확한 진단: 님의 증상은 이관개방증의 전형적인 증상이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진찰이 필요합니다.
치료: 이관개방증은 치료가 어려운 질환 중 하나이지만, 증상 완화를 위한 다양한 치료법이 있습니다.
합병증 예방: 이관개방증을 방치하면 이명이나 불면증 등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조언:
자가 관리: 증상이 나타날 때 코를 막고 숨을 들이마시거나, 껌을 씹거나, 숨을 참은 채 침을 삼키고 하품을 해보는 것도 일시적인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궁금증이 해소되셨기를 바랍니다. 빨리 건강을 회복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