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이고 이번에 문학 등급이 나왔는데......종합해서 90점인데 4가 떴네요.....문과인데...황당해서 웃음도 안나와요ㅋ 95인데 3뜬애도 있고......이정도면 학교가 문제를 잘못낸건가요?
이런 상황에서 '학교가 문제를 잘못 낸 건가'라는 의문이 드는 건 당연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문제가 잘못되었다기보다는, 등급이 결정되는 방식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을 가능성이 커요.
가장 중요한 이유입니다. 내신 등급은 내가 몇 점을 받았느냐(원점수)도 중요하지만, **다른 친구들이 몇 점을 받았느냐(상대적인 위치)**가 훨씬 더 중요해요.
만약 이번 문학 시험이 매우 쉬워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면, 90점이라는 높은 점수라도 전체 학생들 중 상위 40% 안에 들지 못해 4등급이 나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90점대 중반이나 후반에 학생들이 촘촘하게 몰려있고, 90점은 그 점수대 아래에 위치하게 된 거죠.
2. 응시 학생 수가 적을수록 등급컷이 더 촘촘해요.
문과 반이나 문학 선택 학생 수가 적다면, 등급을 나누는 인원수 자체가 적어져요. 예를 들어, 전체 학생 수가 100명이라면 1등급은 4명, 2등급은 7명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지만, 30명이라면 1등급은 1명, 2등급은 2~3명으로 등급컷이 훨씬 치열해지고 점수 1, 2점 차이로 등급이 크게 갈릴 수 있습니다.
3. '문제의 난이도 조절 실패'일 가능성도 있어요.
학교 시험은 교사가 직접 출제하기 때문에, 때로는 난이도 조절에 실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너무 쉬운 시험: 위에 설명했듯이, 변별력이 부족해서 대부분의 학생이 고득점을 하면 90점도 낮은 등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오류 문항 또는 정답 시비: 간혹 문제에 오류가 있거나, 정답이 복수이거나, 애매한 보기가 있어서 많은 학생들이 혼란을 겪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전체적인 점수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등급컷 확인: 담임 선생님이나 문학 담당 선생님께 이번 시험의 **평균 점수, 최고 점수, 그리고 각 등급별 커트라인(특히 3등급과 4등급의 커트라인)**을 여쭤보세요. 왜 90점에 4등급이 나왔는지 가장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방법입니다.
시험 분석: 친구의 95점이 3등급이고 내 90점이 4등급이라면, 아마 3등급 컷이 90점대 초중반에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떤 유형의 문제에서 실점했는지 다시 확인하고, 다음 시험에서는 이 부분을 보완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다음 시험 준비: 이번 시험이 등급 받기 불리한 시험이었다면, 다음 시험에서는 단 1, 2점이라도 더 받아서 등급을 올리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등급은 쌓이는 것이 아니라 매 학기/학기말에 리셋되므로, 다음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면 충분히 만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