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기아 EV5의 배터리 종류와 주행거리 성능은? 기아 EV5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종류(예: LFP, NCM)와 이에 따른 주행거리
기아 EV5에 탑재되는 배터리의 종류(예: LFP, NCM)와 이에 따른 주행거리 성능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또한, 배터리 용량이 차량의 전반적인 성능(주행거리, 가속도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특성이 실제 운전 환경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우리나에서는 NCM이 맞습니다.
LFP는 겨울에 쥐약이에요.
기아 EV5 배터리 종류
트림
배터리 종류
배터리 용량
적용 시장
스탠다드
LFP (리튬인산철)
약 64kWh
중국, 국내 일부
롱레인지
NCM (니켈-코발트-망간)
약 88kWh
국내, 유럽 등
배터리 종류별 특징
항목
LFP 배터리
NCM 배터리
장점
가격 저렴, 긴 수명, 열 안정성 우수
에너지 밀도 높음 → 긴 주행거리
단점
무거움, 에너지 밀도 낮음 → 주행거리 짧음
가격 비쌈, 열 관리 필요
적합한 용도
도심 위주, 단거리
고속도로, 장거리 운전
환경 영향
코발트 없음 → 상대적 친환경
코발트 사용 → 원자재 이슈 존재
EV5 트림별 주행거리 비교 (WLTP 기준)
트림
배터리
주행거리 (예상)
스탠다드 (LFP)
약 64kWh
약 530km 이하
롱레인지 (NCM)
약 88kWh
약 720km 전후 (중국 기준)
GT-Line (고출력)
NCM 기반
약 650km 내외, 고성능 중심
※ 국내 인증 기준으로는 수치가 다소 낮아질 수 있습니다 (500~600km 예상)
배터리 용량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
요소
영향 설명
주행거리
당연히 직접적 영향. 배터리 용량이 클수록 에너지 저장량↑ → 주행거리↑
가속력
고전압 배터리는 모터에 더 높은 전력을 빠르게 공급할 수 있음 → 가속 성능↑
차량 무게
배터리 용량 증가 시 차량 중량도 증가 → 제동 거리, 핸들링에 영향
충전 시간
용량이 크면 완충까지 시간 증가, 하지만 급속충전률은 설계에 따라 다름
실제 운전 환경에서의 작용
조건
작용 방식
겨울철 추위
LFP 배터리는 저온에서 출력 저하가 더 심함 → 겨울철 주행거리 급감 가능성
고속 주행
고속에서는 항력 증가 → NCM의 장점 발휘, LFP는 효율 급감
도심 주행
회생 제동이 자주 작동 → 배터리 차이에 따른 체감 적음
출력 요구 상황
언덕, 급가속 상황에서는 NCM 배터리가 더 강한 전력 공급 가능
요약 정리
구분
LFP
NCM
주행거리
짧음 (~500km)
김 (~700km)
내구성
매우 우수
우수
출력/가속
중간
우수
충전 특성
80%까지 빠름, 겨울 성능 저하
충전 속도 설계 따라 다름
추천 운전자
출퇴근·도심 위주 운전자
장거리·고속도로 주행 많은 운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