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불교 경전에 나오는 계급에 대하여 『중아함경』 제39권 154번째 소경인 「바라바당경(婆羅婆堂經)」과 『증일아함경』 제34권 「칠일품(七日品)」의 첫 번째 소경에 나오는 부처님 말씀 중에 첫째는 찰리종(刹利種)이요, 둘째는 바라문종(婆羅門種)이며, 셋째는 거사종(居士種)이요, 넷째는 수다라종(首陀羅種)이라는 4가지 계급이 나오는데요.이 계급은 인도의
『중아함경』 제39권 154번째 소경인 「바라바당경(婆羅婆堂經)」과 『증일아함경』 제34권 「칠일품(七日品)」의 첫 번째 소경에 나오는 부처님 말씀 중에 첫째는 찰리종(刹利種)이요, 둘째는 바라문종(婆羅門種)이며, 셋째는 거사종(居士種)이요, 넷째는 수다라종(首陀羅種)이라는 4가지 계급이 나오는데요.이 계급은 인도의 카스트 4계급(바라문,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와 다른 데요.찰리종과 바라문종과 거사종과 수다라종에 대해서 각각 어떤 계급(직책?)인지, 인도 카스트와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답변 주심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찰리종=크샤트리아: 왕족, 무장들.
바라문=브라만: 성직자들.
거사종=바이샤. 일반적인 직업에 종사
수다라종=수드라. 천민 계급
크게는 이렇게 나누지만 시대가 흐름에 따라 점점 세분화되었습니다.
부처는 평등을 주장하였으며, 어떤 계급에서 출가해도 똑 같이 대했습니다.
예를 들면 우파리는 10대제자였지만 출가전에는 수드라인 이발사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