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매도 후 환전 환율 주식 매도 후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려다 보니네이버에는 지금 1391원인데증권사 환전
주식 매도 후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려다 보니네이버에는 지금 1391원인데증권사 환전 환율은 1348원입니다왜 이런 차이가 나나요? 밤이라서 우대율 적용이 안되는건가요??
지금 보신 네이버 환율(1391원) 과 증권사 환전 환율(1348원) 차이는 몇 가지 이유 때문입니다:
1. 네이버 환율 = 기준환율(또는 시장 환율)
네이버나 한국은행, 언론에서 보이는 환율은 **‘중간환율(Mid-rate)’**입니다.
즉, 은행이나 환전소가 사고파는 가격의 평균값일 뿐, 실제 개인이 환전할 때 적용되는 환율은 아닙니다.
2. 증권사 환전 환율 = 매매 기준율 ± 가산/할인
증권사(또는 은행)에서는 이 중간환율에 **스프레드(가산/할인폭)**을 더해 실제 환전 환율을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달러를 원화로 바꿀 때는 보통 매도율이 적용되는데, 이는 기준환율보다 낮게 책정됩니다.
평소 영업시간(은행/증권사 업무 시간)에는 고객 등급이나 이벤트에 따라 우대율이 적용되어 스프레드 일부가 줄어듭니다.
하지만 심야나 주말에는 시스템이 자동 적용되지 않거나, 일괄적으로 우대 미적용 기본환율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그래서 밤에 환전하려면 환율이 불리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현재 네이버에서 보는 1391원은 “공식 중간환율”이고,
증권사에서 제시한 1348원은 “달러 매도 시 실제 고객 적용 환율”입니다.
차이가 크게 보이는 건 우대 미적용 + 증권사 환전 마진(스프레드)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금 밤이라서 환율 우대가 적용되지 않아 기본 매도 환율(1348원)이 보이는 거고,
영업시간에 환전하면 우대율이 적용되어 네이버 환율과 더 가까운 값으로 바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