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인대파열 후경거인대는 무슨역할을하나요?외상으로 파열될수있나요?거골하관절은 외상으로 삼출액 생길수있나요?삼출액생기면 관절염으로 되나요?
후경거인대는 무슨역할을하나요?외상으로 파열될수있나요?거골하관절은 외상으로 삼출액 생길수있나요?삼출액생기면 관절염으로 되나요?
발목 부위에 대해 질문해 주신 내용들을 하나씩 차근히 설명드릴게요.
1. 후경거인대(Posterior talofibular ligament, PTFL)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후경거인대는 발목 뒤쪽에 있는 인대 중 하나로, 종아리뼈(외측 복사뼈, fibula)와 거골(talus)을 연결합니다.
이 인대는 특히 발목이 과하게 안쪽(내번)으로 꺾이거나, 과도하게 젖혀지는(신전) 동작에서 발목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은 다른 인대(앞거비인대, 전거비인대)보다 강하고 튼튼해서 단독으로 손상되는 경우는 드물고, 심한 발목 염좌나 탈구, 인대파열이 동반될 때 같이 손상되곤 합니다.
2. 후경거인대는 외상으로 파열될 수 있나요?
특히 발목을 심하게 삐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져 착지할 때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후경거인대까지 손상될 수 있어요.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이 인대는 비교적 강한 구조이기 때문에, 주로 발목의 전반적인 큰 손상이나 다인대 손상의 일부로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거골하관절(Subtalar joint)은 외상으로 삼출액이 생길 수 있나요?
거골하관절은 거골(talus)과 종골(calcaneus) 사이에 있는 관절인데, 이 부위는 발목의 회전이나 기울임을 도와주는 중요한 관절입니다.
강한 외상, 특히 발목이 틀어지거나 접질리는 사고가 나면 이 관절 안에 염증이 생기면서 삼출액(염증성 물)이 고일 수 있습니다.
이걸 영상 검사(MRI 등)로 보면 관절 주위에 물이 차 있는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삼출액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관절염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반복적인 외상이나 삼출액이 장기간 지속되면 관절연골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만성적인 염증성 변화가 생기면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외상 후에는 적절한 진단과 치료(휴식, 냉찜질, 물리치료, 필요시 약물치료)가 중요해요.
또한 무리한 활동을 피하고 충분히 회복 기간을 가지는 것도 관절염으로의 진행을 막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혹시 최근에 발목 외상을 겪으신 거라면 정형외과 진료를 꼭 보시고, 필요시 MRI 등 정밀검사를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무리해서 돌아다니기보다는 지금은 회복에 집중하시는 게 제일 중요하답니다.
답변을 채택하면 질문자에게 내공의 50%가 돌아가고 제가 받는 모든 내공은 어려운 이웃에게 기부됩니다.